본문 바로가기
car

전기차 배터리 폭발 원인과 이유, 어려운 화재 진압과 진상 규명.

by 메타트렌더 2023. 4. 27.
반응형

최근 전기차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내연기관 전기차들은 이제 2025~2030년 부터는 더이상 내연기관을 자동차를 생산하지 않겠다고 선언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기차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최근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바로 전기차의 안정성에 대한 부분입니다. 갑자기 멀쩡하던 전기차 배터리가 폭발해서 많은 인명피해와 쉽게 꺼지지 않는 전기차 배터리로 인한 2차 피해와 환경오염까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화재 원인은 배터리

 

전기차의 화재 원인은 100% 배터리라고 볼수가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가 폭발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 다다음과 같을때 전기차 배터리 폭발이 일어난다고 볼수가 있습니다.


1.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 폭발

배터리가 너무 많은 전기를 충전 받게되면 내부의 화학 반응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전기차 배터리의 폭발 위험을 증가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2. 과열에 의한 배터리 폭발

배터리가 너무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이 불안정해져 폭발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3. 충격에 의한 배터리 폭발

전기차가 타고 운전하거나 외부에서 배터리가 강한 충격을 받게 되면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이 불안정해져 폭발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4. 배터리 자체의 폭발 위험성

배터리의 외부에 물질이 침투하거나, 배터리의 구조적 결함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이 불안정해져 폭발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전기차 배터리가 폭발하는 다양한 원인들이 존재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의 결함, 배터리 용량의 과도한 축적, 배터리 구조의 결함 등 다양한 요인이 전기차 배터리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저런 다양한 이유로 전기차 배터리 폭발위험때문에 전기차를 지금 당장 사지 않는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화재진압도 진상규명도 쉽지 않은 전기차 배터리 폭발

 

대한민국 소방청에 발표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전기자동차의 화재건수는 69건으로 그 수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해마다 약 4,000대의 차량화재에 비해서 굉장히 미약한 수치이지만 쉽게 볼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1. 짧은 시간에 화재 발생

전기차 배터리 폭발이 발생하면, 대개 짧은 시간 내에 큰 규모의 화재가 발생합니다. 이는 화재 대응 시간을 매우 제한적으로 만들어, 초기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으로, 2차 화재피해 발생위험이 상당히 크다는 겁니다.  

2. 큰 폭발과 화재 규모 발생.

전기차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차와는 다르게 매우 큰 규모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폭발이라는 변수로 인해 화재 진압을 더욱 어렵게 만들수 있다고 합니다.

3. 유독성 배터리 화학물질 발생

전기차 배터리 내부에는 다양한 유독성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런 화학물질로 인해 화재 진압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키고 쉽게 꺼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폭발 화재 진압용 특수장비들

 

바로 이부분이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이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불만 잡으면 되는 내연기관차와는 다르게 전기자동차는 자동차를 완전히 물속에 담구거나 차를 소화포로 덮은 다음 내부에서 물과 약제를 분사 질식소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이 아니면 전기차의 화재를 막을수가 없다라는 것입니다. 아파트 지하철이나 차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이라면 그 위험성은 거의 폭탄급이라고 볼수가 있는거죠. 일반 소화기로 진압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소방당국은 전기자동차화재 진압용 특수장비를 통해 진압을 하는데 이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한번 불이 붙으면 짧은 시간안에 대형 폭발성 화재로 번지고, 승용차보다 큰 픽업트럭이나 대형전기트럭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큰 장비들을 동원하는 이 방식에도 큰 허점이 생기는 겁니다.

 

또한, 진화가 끝났을땐 이미 차량이 모든 불타버린 '전소'상태가 되기 때문에 진상규명또한 쉽지 않은것도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수 없습니다. 원인을 알수가 없다면 모든 피해는 전기차를 운전하는 차주에게 그 책임이 다 돌아가버린다는 겁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전기차를 사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라는 겁니다. 물론 더 다양한 안정성을 강화한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자동차가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결국 전기차를 탈수 밖에 없는 상황도 올것입니다.

 

전기 자동차 폭발 화재진압용 소화포

 

전기자동차 배터리 폭발 화재진압용 수조

 

배터리 폭발 사고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화재가 난 자동차 배터리를 물이나 특수소화액등으로 푹 담궈 2차 배터리폭발을 막기 위한 특수장비라고 합니다. 한번 불이 나면 친환경차라는 말이 무색해질정도이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