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판매 1톤 전기트럭 종류, 중국 T4K, 현대 봉고3 EV, 기아 포터2 EV 일렉트릭비교 요약 정보

2023. 5. 17. 12:51car

반응형

대한민국엔 현대 기아가 일반 차뿐만 아니라 특수차, 그리고 1톤 트럭시장을 꽉잡고 있습니다. 몇년전에 출시한 봉고EV와 포터2 일렉트릭(EV) 역시 생각보다 많이 팔리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친환경차라고 분류가 되면서 전기차에 지급되는 정부 전기차보조금이 빠방하게 지원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생각보다 긴 충전시간과 200Km 정도 밖에 안되는 짧은 주행거리는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현대 포터2EV
현대 포터2EV

 

하지만, 긴 장거리를 운행하지 않는 분들은 조용한 실내로 굉장히 만족하면서 운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트럭같은 경우 디젤엔진을 사용하고 운전석 바로 앞에 모터가 달려 있기 때문에 소음이 엄청납니다.

 

하지만, 전기로 움직이는 1톤 트럭은 그런 소음자체가 없기 때문에 소음때문에 예민하셨거나, 환경오염에 대해 고민을 하시는 분들은 대만족이라고 하네요.

 

그런데 이런 독과점 시장에 최근 전기트럭들이 속속 나타나고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대 봉고EV 와 기아 포터 일렉트릭만 생각하시겠지만 상당히 많은 전기트럭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전기트럭들이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톤 전기트럭 기아 봉고3 EV

2. 1톤 전기트럭 현대 포터2 일렉트릭(EV)

3. 중국 BYD T4K(티포케이) GS글로벌 수입

4. 전기트럭 전기차 보조금금액

5. 멈출지 모르는 전기트럭 성장세

 

1. 1톤 전기트럭 기아 봉고3 EV

기아 봉고3 EV는 64kW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여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며, 120마력의 모터 출력과 395Nm의 토크를 제공하여 탁월한 주행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아 봉고EV3 1톤 전기트럭
기아 봉고EV3 1톤 전기트럭

 

DC급속 충전기를 이용하면 빠른 충전이 가능하며, 약 54분 정도의 충전 시간으로 긴 이동 거리에 대한 우려를 줄여줍니다. 화물 용량으로 약 1톤을 수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상업적 용도에 적합합니다.

 

기아 봉고3 EV는 신뢰성과 경제성을 갖춘 전기 상용차로서 많은 사업체와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가격 4,365~4,550만원 / 연료 전기 / 주행 211km 1회 충전 시 / 연비 복합 3.1km/kWh 도심 3.6, 고속 2.7 / 출력 135kW 모터 181hp (단순환산치)  / 토크 395Nm 모터 40.3kg.m (단순환산치) / 용량 58.8kWh 배터리
구동 RR 변속 자동1단 / 전장 5,115mm / 전고 1,995mm / 전폭 1,740mm / 축거 2,810mm

 

2. 1톤 전기트럭 현대 포터2 일렉트릭(EV)

지난달 27일에 현대자동차는 1톤 전기트럭 '포터2 일렉트릭'의 연식변경 모델을 출시를 했습니다. 몇 가지 옵션 사양이 기본 사양으로 변경, 그로 인해 가격이 180만 원 이상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1톤 전기트럭 포터2EV 일렉트릭
1톤 전기트럭 포터2EV 일렉트릭


기존에는 옵션 사양으로 제공되던 배터리 히팅 시스템, 전동조절식 사이드미러, 틸트 스티어링 휠이 2023년

형 포터2 일렉트릭의 기본 사양으로 제공됩니다.

 

배터리 히팅 시스템은 겨울철 전기차 배터리 방전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에 따라 포터2 일렉트릭의 가격도 변경이 되었는데요. 슈퍼캡 초장축 기준으로 스마트 스페셜 트림의 가격은 185만 원 오른 4,375만 원으로, 프리미엄 스페셜 트림은 180만 원 오른 4,553만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배터리 히팅 시스템이 기존의 옵션 가격이었던 20만 원에 해당되었기 때문에, 가격 인상에는 원자재 및 배터리 가격 상승분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가격 4,375~4,554만원 / 연료 전기 / 주행 211km 1회 충전 시 / 연비 복합 3.1km/kWh 도심 3.6, 고속 2.7 / 출력 135kW 모터 181hp (단순환산치) / 용량 58.8kWh 배터리 / 구동 RR 변속 자동 / 전장 5,105mm / 전고 1,970mm / 전폭 1,740mm /축거 2,810mm

 

3. 중국 BYD T4K(티포케이) GS글로벌 수입

이와 동시에 중국 BYD가 GS글로벌과 협력하여 최근 국내에서 1톤 전기트럭 '티포케이(T4K)'를 출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포터EV와 봉고EV와의 경쟁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중국 BYD의 티포케이. ⓒGS글로벌
중국 BYD의 티포케이 GS글로벌

 

국내 1톤 전기트럭 중 최대 용량인 82kWh LFP(리튬인산철)배터리 약점인 부피문제를 극복한, 열 안정성을 강화한 BYD차세대 배터리인 블레이드(Blade)배터리 탑재, 140kW의 모터 출력으로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티포케이의 가격은 4669만원으로 포터EV(4375만원)와 봉고EV(4365만원)보다 약간 높게 책정되었습니다.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하자 "중국산 전기차의 경쟁력이 높고 티포케이의 제원도 동급 최고 수준"이지만, "그러나 현대차와 기아에 비해 애프터 서비스(AS) 네트워크 등에서 부족하기 때문에, 당분간 포터EV와 봉고EV의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T4K의 배터리 성능과 공차중량에 대한 논란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산 BYD 전기트럭 판매가 어떻게 될지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4. 1톤 전기트럭 전기차 보조금금액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경우, 포터EV와 디젤 모델 간의 차량 가격 차이가 크게 좁히게 됩니다. 포터EV의 시작가격은 43.75만원이며, 이는 디젤 모델(18.65만원)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있습니다.

 

1톤 전기트럭 보조금 지급금액
1톤 전기트럭 보조금 지급금액


또한, 포터EV는 국고 보조금으로 1200만원을 받을 수 있으며, 서울 지역 기준으로 보조금 400만원까지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저상형 냉동탑차의 경우 국고 보조금 1400만원과 서울시 보조금 466만원 등 총 1866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더 커지는 전기트럭 성장세

올해에도 현대자동차의 '포터EV'와 기아의 '봉고EV'는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데, 일상생활에서 화물운송과 가장 밀접하한 관계를 가지는 1톤 전기트럭. 

 

친환경성과 아직까지는 디젤차보다는 조금 더 저렴한 연료비용 등의 장점으로 인해 인기를 끌고 있으며, 판매 신화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멈추지 않는 전기트럭 성장세
멈추지 않는 전기트럭 성장세

 

2022년에는 포터EV가 전체 포터 판매량의 23.7%, 봉고EV가 전체 봉고 판매량의 22.1%를 차지하는 등 전기모델의 비중이 상승했습니다. 2023년 1분기에는 포터EV가 27.7%, 봉고EV는 36.5%의 비중을 기록했는데요.

 

포터EV와 봉고EV의 인기 요인 중 하나는 디젤 모델에 비해 낮은 연료비용입니다. 디젤 가격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1톤 전기트럭의 연료비용은 디젤 차량의 절반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재 경유 가격은 리터당 서울 지역 평균 1,643.15원. 이와 비교하여 전기트럭의 경영 비용은 상당히 저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료 인상으로 인해 전비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더 긴 주행거리를 운행할수 있는 배터리기술이 시급해 보입니다.

포터EV는 2020년 9,037대에서 2021년 15,805대, 2022년 24,180대로 연간 판매량을 꾸준히 증가시켰습니다. 봉고EV 역시 2020년 5,357대에서 2021년 17,280대, 2022년 15,373대로 매년 크게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의 누적 판매량을 보면, 포터EV는 7,745대, 봉고EV는 7,070대로 전년 대비 각각 93.3%와 68.8% 급증했으며, 포터EV와 봉고EV의 합산 판매량은 2021년에는 26,533대, 2022년에는 35,791대로 기록했다고 합니다.

현대 기아차의 생활밀착형 전략 1톤 전기트럭. 봉고EV와 포터EV. 포터의 판매량 중 전기모델이 17.1%를 차지하였고, 봉고도 18.0%의 전기모델 비중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중국산 1톤 전기트럭이 얼마나 그 비중을 차지할수 있을지 시장의 변화가 기대됩니다.

 

기타 국내 판매중인 전기트럭

2023 대창모터스 다니고 W / 2023 대창모터스 다니고 T  / 2023 대창모터스 다니고 R / 2023 대창모터스 다니고 L / 2023 대창모터스 다니고 C / 2022 SS모터스 젤라 EV / 2022 디피코 포트로 EV 픽업

 

현재 이제품들보다 더 많은 전기트럭들이 판매중인데 다음번에 다시 작성을 해 보는걸로~

반응형